“너 오늘 진짜 이쁘다~”
“예쁘다는 말이 더 정중한 느낌이야”
일상 대화나 SNS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예쁘다’와 ‘이쁘다’**입니다.
두 단어는 뜻도 똑같고, 발음도 거의 비슷하죠.
그럼 도대체 뭐가 맞는 표현일까요? 표준어는 어느 쪽일까요?
오늘은 이 두 표현의 차이와 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릴게요!

1. 표준어는 “예쁘다”!
- ✅ 예쁘다 (O)
- ❌ 이쁘다 (X)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예쁘다”가 정식 표준어이고,
“이쁘다”는 비표준어로 분류됩니다.
즉, 일상에서는 이쁘다도 많이 쓰이지만,
공식적인 글쓰기나 방송, 문서에서는 반드시 ‘예쁘다’로 써야 맞습니다!
2. 왜 “이쁘다”가 흔히 쓰일까?
‘예쁘다’는 실제 발음에서
‘예’가 ‘이’처럼 들리는 경향이 있어요.
✔ 발음상:
- “예쁘다” → /이쁘다/
이렇게 들리니까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이쁘다’라고 쓰기 시작한 거예요.
하지만 발음이 그렇다고 해서 표기까지 따라가면 안 되겠죠?
문장은 소리보다 문법이 우선입니다.
3. 예문으로 비교해 보기
✅ 표준 표현
- 너 정말 예쁘다.
- 오늘 옷이 예뻐 보여.
- 네 미소가 너무 예뻐서 감탄했어.
❌ 잘못된 표현
- 너 진짜 이쁘다.
- 오늘 이쁜 옷 입었네.
- 얼굴이 이쁘장하네 → (표기상 틀림)
※ 참고: 대화체나 댓글, 메신저에서는 관용적으로 ‘이쁘다’를 쓰는 경우도 많지만,
맞춤법이 필요한 글에서는 ‘예쁘다’만 쓰는 게 정석입니다!
4. “예쁘다”의 활용형도 기억해요!
- 예쁜 사람
- 예뻐요
- 예뻤다
- 예쁠 때
👉 모든 활용형도 ‘예’로 시작해야 맞습니다!
❌ 이뻐요, 이쁜, 이뻤다 → 모두 틀림!
✅ 예뻐요, 예쁜, 예뻤다 → 올바른 표기!

외우는 꿀팁!
👉 “예술적으로 예쁜 건 예쁘다!”
👉 “이쁘다”는 말은 돼도, 글에서는 X
문장에서는 ‘예쁘다’가 맞고,
‘이쁘다’는 구어체일 뿐이다라고 기억해두면 좋아요!

표준어는 무조건 ‘예쁘다’!
✔ 예쁘다 = 표준어, 문장에 써야 하는 올바른 표현
❌ 이쁘다 = 비표준어, 대화체·비공식적인 상황에서만 사용 가능
맞춤법은 습관이에요.
소리보다는 표준에 맞는 정확한 표현을 선택하는 게 중요합니다!
'생활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수 밖에 vs 수밖에" 띄어쓰기 주의하세요! (0) | 2025.04.05 |
---|---|
헷갈리는 맞춤법! "않다 vs 안다" 구별해서 제대로 쓰기 (0) | 2025.04.04 |
헷갈리는 맞춤법! "되다 vs 돼다" 제대로 구분하기 (0) | 2025.04.03 |
헷갈리는 맞춤법! "잊다 vs 잃다" 완벽하게 구분하기 (0) | 2025.04.02 |
헷갈리는 맞춤법! "어의없다 vs 어이없다" 진짜 맞는 표현은? (0) | 2025.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