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식

헷갈리는 맞춤법! "부숴 vs 부셔 vs 부서" 깨는 건 뭐라고 해야 할까?

by 로지루리 2025. 4. 8.
반응형

“문 좀 부셔!”
“창문이 다 부서졌어
“분명히 내가 부쉈는데…”

이렇게 말할 때 여러분은 부셔, 부숴, 부서 중 어떤 표현을 쓰시나요?
비슷하게 들리지만 전혀 다른 말이고, 일부는 틀린 표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수다’의 올바른 활용형과 잘못 쓰기 쉬운 표현들을 정리해드릴게요!

 

 

 

1. 기본형은 “부수다”!

  • 부수다 → 어떤 물건을 깨뜨리거나 망가뜨리는 동작
    예: 유리를 부수다, 벽을 부수다

이 기본형이 활용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하는데요,
많은 분들이 잘못된 줄임말이나 발음대로 표기해서 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올바른 활용형은 이거예요!

형태예문
부숴 그 문 그냥 부숴 버려!
부쉈다 내가 아까 그거 부쉈어.
부숴지다 창문이 저절로 부숴졌어.
부수자 그거 그냥 우리 부수자.

👉 모두 ‘ㅅ + ㅝ’ 결합으로 표기되며, 발음은 ‘부셔’처럼 들릴 수 있지만 표기상은 무조건 '부숴'가 맞습니다.

3. “부셔”는 틀린 표현이에요!

  • 부셔 (X)
  • 부숴 (O)

많은 분들이 말할 때 “부셔”라고 하니까
그대로 적어버리는 실수를 자주 해요.
하지만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부셔’는 표준어가 아니며, 존재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틀린 예문

  • 문을 그냥 부셔 → ❌
  • 그거 내가 아까 부셨어 → ❌

올바른 표현

  • 문을 그냥 부숴 → ✔
  • 그거 내가 아까 부쉈어 → ✔

4. “부서지다”는 다른 말이에요!

  • 부서지다 → 스스로 깨지거나 망가지는 상태 (수동)
    예: 컵이 바닥에 떨어져서 부서졌다.

‘부수다’는 능동,
‘부서지다’는 수동입니다.

👉 내가 깨면 = 부쉈다
👉 저절로 깨지면 = 부서졌다

 

외우는 꿀팁!

  • 말은 “부셔”처럼 들려도, 쓰기는 ‘부숴’
  • 깨는 건 → 부수다 → 부숴 / 부쉈다
  • 깨지는 건 → 부서지다 / 부서졌다

👉 “ㅅ”이 들어가니까 무조건 부숴, 부쉈다로 써야 맞습니다!

 

부숴, 부쉈다, 부서졌다 – 구분이 핵심!

부숴, 부쉈다 = 능동 → 내가 깨는 동작
부서지다, 부서졌다 = 수동 → 스스로 깨짐
부셔, 부셨어 = 비표준어, 말은 돼도 글로 쓰면 틀림!

이제는 들리는 대로 쓰지 말고,
정확한 표준어로 표현해보세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