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쩔 수밖에 없었어”
“어쩔 수 밖에 없었어”
띄어 쓸까? 붙여 쓸까?
많은 사람들이 이 표현을 틀리게 쓰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밖에"와 "수 밖에"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띄어쓰기 원칙과 함께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1. 올바른 표현은 ‘수밖에’
- ✅ 수밖에 (O)
- ❌ 수 밖에 (X)
정답은 **붙여 쓰는 ‘수밖에’**입니다!
이건 단순한 ‘조사 + 명사’ 조합이 아니라,
하나의 부사어처럼 굳어진 표현이에요.
의미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 다른 방법이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그래서 조사 ‘밖에’와 함께 붙여서 **‘수밖에’**라고 쓰는 게 맞습니다.
2. 예문으로 확인해보자
✅ 맞는 표현
- 어쩔 수밖에 없었어.
- 네 말을 믿을 수밖에 없지.
- 이건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야.
❌ 틀린 표현
- 어쩔 수 밖에 없었어.
- 믿을 수 밖에 없었다.
"수 밖에"는 띄어쓰면 의미가 이상해져요!
왜냐하면 ‘밖에’는 조사인데, 의존 명사인 ‘수’와 분리하면 문법적으로 어색해지거든요.
3. 왜 붙여 써야 할까?
‘수’는 의존 명사,
‘밖에’는 조사,
하지만 이 둘이 함께 쓰일 때는 의미상 한 덩어리로 쓰여 고착된 표현입니다.
그래서 ‘수밖에’는
→ 붙여서 한 단어처럼 다루는 것이 원칙이에요.
👉 참고로 비슷한 표현
- 할 수 있다 (띄어쓰기 필요)
- 어쩔 수밖에 없다 (붙여쓰기!)
- 그럴 수밖에 없었다 (붙여쓰기!)
4. 외우는 꿀팁!
- ‘수밖에’는 붙여 쓰는 단어처럼 외우기!
-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상황이면 무조건 수밖에
- 띄어 쓰면 문장이 어색하거나 틀린 의미가 됩니다.

무조건 '수밖에'로 붙여 씁니다!
✔ 수밖에 (O) = 다른 선택이 없음, 붙여 쓰는 고정 표현
❌ 수 밖에 (X) = 문법적으로 틀림
사소한 띄어쓰기 하나로도 문장의 정확성이 달라지니,
이제부터는 헷갈리지 말고 무조건 수밖에로 기억하세요 😊
반응형
'생활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않다 vs 안다" 구별해서 제대로 쓰기 (0) | 2025.04.04 |
---|---|
헷갈리는 맞춤법! "되다 vs 돼다" 제대로 구분하기 (0) | 2025.04.03 |
헷갈리는 맞춤법! "잊다 vs 잃다" 완벽하게 구분하기 (0) | 2025.04.02 |
헷갈리는 맞춤법! "어의없다 vs 어이없다" 진짜 맞는 표현은? (0) | 2025.04.01 |
헷갈리는 맞춤법! "애매하다 vs 애매모호하다" 차이점 정확히 알기 (0)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