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식

헷갈리는 맞춤법! "되다 vs 돼다" 제대로 구분하기

by 로지루리 2025. 4. 3.
반응형

“그렇게 ?”, “그렇게 ?”
비슷하게 들리지만, 하나는 맞고 하나는 틀린 표현이에요.
‘되다’와 ‘돼다’, 특히 줄임 표현인 **‘돼’ vs ‘되’**는
진짜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맞춤법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표현들을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게요.

 

 

1. 기본은 '되다'!

  • 되다 → 기본 동사
  • 돼다 → 존재하지 않는 말

우선 **‘되다’**는 표준어로,
어떤 변화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동사입니다.

예:

  • 일이 잘 되다
  • 밥이 다 되었다
  • 꿈이 현실이 되다

포인트:
‘되다’는 문장의 기본형이고,
이게 활용되면서 ‘돼’, ‘됐어’, ‘되면’처럼 변화하는 거예요.

2. ‘돼’는 ‘되다’의 줄임말

‘되다’ + ‘어’ →

즉,

  • 되 + 어 →
  • 되 + 었어 → 됐어

예:

  • 밥이 다
  • 이제 그만하면
  • 벌써 다 됐어

여기서 주의할 점!
‘돼다’라는 말은 아예 없습니다!
발음 때문에 ‘돼다’처럼 들리는 건 오해일 뿐이에요.

3. 자주 틀리는 예 주의!

❌ 이젠 그만 돼라 → ❌ (X)
✅ 이젠 그만 돼라 → ✔ (O)

❌ 밥이 다 돼었어 → ❌
✅ 밥이 다 됐어 → ✔

❌ 그렇게 돼지지 말고 → ❌
✅ 그렇게 되지 말고 → ✔

👉 "돼다"라는 건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조합!
👉 무조건 ‘되다’가 기본이고, 활용형으로만 변형됩니다!

4. 외우는 꿀팁!

👉 무조건 기본형은 되다
👉 되 + 어 = , 되 + 었어 = 됐어

절대 ‘돼다’ 같은 표현은 만들지 말기!
줄였다고 해서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는 건 아니에요!

 

'되다'가 기본, '돼'는 줄임, '돼다'는 틀림!

되다 = 기본형
= 줄임말 (되 + 어)
돼다 = 존재하지 않는 틀린 표현

비슷하게 들려도 문법적으로 완전히 다르니,
이제는 자신 있게 돼/되 구분해서 써보세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