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식

헷갈리는 맞춤법! "어의없다 vs 어이없다" 진짜 맞는 표현은?

by 로지루리 2025. 4. 1.
반응형

 

어이없는 소식을 들었을 때, 우리는 흔히 “진짜 어의없다…”라고 표현하곤 하죠.
하지만 이 표현, 맞춤법으로 보면 많은 사람들이 틀리게 쓰는 대표적인 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의없다"와 "어이없다"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왜 틀리는지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

 

 

 

1. 정답은 바로 "어이없다"

  • "어이없다" (O)
  • "어의없다" (X)

**"어이없다"**가 표준어입니다.
"어의없다"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며 완전히 틀린 표현이에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 발음을 '의'로 착각해서 무심코 잘못 쓰곤 하죠.

2. "어이없다"의 정확한 뜻

"어이없다"는 말 그대로

  • 기막히거나, 황당하거나, 말이 안 나올 정도로 어처구니없는 상황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즉, 너무 놀라거나 황당해서 할 말을 잃은 상태예요.

예문

  • "진짜 이런 일이 다 있다니, 어이없어."
  • "그 말은 너무 어이없다."
  • "웃긴 걸 넘어서 그냥 어이없음."

**발음이 ‘어이’**이기 때문에, **의(의사, 의미)**와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3. "어의"라는 말은 있긴 하지만 전혀 다른 뜻

참고로, **"어의(御醫)"**라는 단어도 있긴 있어요.
이건 조선시대 왕을 진료하던 의사를 뜻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 "조선시대에는 왕을 돌보는 어의가 있었다."

하지만 이건 완전히 다른 단어고,
“말도 안 돼서 기가 막히다”는 뜻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4. 쉽게 기억하는 팁!

👉 너무 황당하면 말이 ‘어이없다’고 한다.
👉 ‘의사’, ‘의미’, ‘어의’와는 완전 다른 개념!
👉 어이없는 상황엔 어이없다만 쓰자!

5. 자주 틀리는 예 주의!

❌ 진짜 어의없다 → ❌ 틀림
✅ 진짜 어이없다 → ✔ 정답

❌ 그 말은 너무 어의없었어 → ❌
✅ 그 말은 너무 어이없었어 → ✔

 

무조건 "어이없다"만 맞는 표현!

어이없다 = 기가 막히고 황당해서 말문이 막히는 상태
어의없다 = 표준어 아님! 쓰면 틀린 말입니다

비슷하게 들려도 철자 하나 차이로 맞춤법 점수는 0점이 될 수 있어요!
지금부터는 무조건 “어이없다”로 기억해 주세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