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제 병이 낫는다”, “아이를 낳다”, “그게 더 낫다”
이 세 문장, 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각각의 뜻이 완전히 다릅니다.
**‘낫다’, ‘낳다’, ‘낫는다’**는 자주 혼동되는 맞춤법 중 하나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 세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낫다"는 병이나 상황이 좋아지는 것
- ✅ "낫다" (O)
→ 병, 상처, 기분 등이 좋아지거나 회복되다는 의미예요.
예문
- 감기가 다 나았어.
- 빨리 낫고 싶다.
- 시간이 지나니까 마음이 좀 나아졌다.
포인트: 회복, 좋아짐 = 낫다
2. "낳다"는 아이를 출산하거나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
- ✅ "낳다" (O)
→ 아이를 출산하거나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다는 뜻이에요.
예문
- 어머니가 나를 낳으셨다.
- 노력은 좋은 결과를 낳는다.
- 그 발언이 논란을 낳았다.
포인트: 출산, 결과 발생 = 낳다
3. "낫는다"는 '낫다'의 현재형
- ✅ "낫는다" (O)
→ 앞서 말한 ‘낫다(회복되다)’의 현재형 표현이에요.
→ “아직 진행 중인 회복 상황”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 약 먹으면 곧 낫는다.
- 지금은 아프지만 곧 낫는다고 했어.
- 마음도 시간 지나면 낫는다고 하잖아.
주의:
"낫는다"를 "낳는다", 또는 "낫다"를 **"낳다"**로 쓰는 실수가 자주 있어요!
발음은 비슷해도 뜻이 다르니 철자에 주의해야 합니다.
4. 잘못 쓰는 예 조심!
❌ 감기가 드디어 낳았다 → (출산이 아님!!)
✅ 감기가 드디어 나았다
❌ 그 일은 큰 문제를 낫었다 → (회복이 아님!)
✅ 그 일은 큰 문제를 낳았다
❌ 아이를 낫고 집에 돌아왔다 → (회복이 아님!)
✅ 아이를 낳고 집에 돌아왔다
5. 외우는 꿀팁 정리!
- 낫다: 병·상처가 나아짐
- 낳다: 아이를 출산하거나 결과 발생
- 낫는다: 낫다의 현재형 → 지금 좋아지는 중!
👉 "낳다"에는 ㅎ이 들어감 → 출산(生命, 생명)의 느낌을 연상
👉 "낫다"에는 ㅎ이 없음 → 병이 나아지는 회복

낫다? 낳다? 낫는다? 상황 보고 구분하자!
✔ 낫다 = 회복
✔ 낳다 = 출산 또는 결과
✔ 낫는다 = 회복 중
비슷하게 들려도 상황에 따라 완전히 다른 단어입니다.
이제부터는 발음 말고 의미 중심으로 맞춤법 선택!
반응형
'생활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애매하다 vs 애매모호하다" 차이점 정확히 알기 (0) | 2025.03.31 |
---|---|
헷갈리는 맞춤법! "데리러 vs 데려러" 진짜 맞는 표현은? (0) | 2025.03.30 |
헷갈리는 맞춤법! "가르치다 vs 가리키다" 정확하게 구분하기 (0) | 2025.03.28 |
헷갈리는 맞춤법! "헷갈리다 vs 헷갈이다" 진짜 맞는 말은? (0) | 2025.03.27 |
헷갈리는 맞춤법! "어떻게든 vs 어떻해든" 어느 게 맞는 표현일까? (0) | 2025.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