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 그 말 안 해”
“나 그 말 않아”
비슷하게 들리지만, 문법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말입니다.
‘않다’와 ‘안다’, 특히 부정 표현 vs 긍정 표현을 혼동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 차이, 그리고 제대로 된 예문까지 정리해드릴게요.
1. "않다"는 부정 표현!
- ✅ 않다 → ‘아니다’의 뜻을 가진 부정형 동사
‘하지 않는다’, ‘아니다’의 의미로,
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어서 부정의 의미를 만들어줍니다.
예:
- 가지 않다
- 먹지 않다
- 예쁘지 않다
예문
- 그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 나는 그런 말 한 적이 않아.
- 그건 사실이 아니야 → 않아의 의미와 같음
포인트:
무언가를 하지 않음 → 않다 사용!
‘않’은 항상 부정이라는 걸 기억하세요.
2. "안다"는 아는 것이다!
- ✅ 안다 → ‘알다’의 현재형
‘모른다’의 반대말이에요.
지식, 사실, 정보 등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할 때 사용합니다.
예:
- 나는 그 사실을 안다.
- 다 알고 있다 → 안다
예문
- 너 이 노래 안다?
- 나는 네 마음을 안다.
- 모두가 그 사실을 이미 안다고 했다.
포인트:
무언가를 알고 있음 → 안다
3. 자주 틀리는 예 주의!
❌ 나는 그걸 않아 → (틀림, 긍정인지 부정인지 모호)
✅ 나는 그걸 몰라 or 안다 (알다의 의미면)
✅ 나는 그렇게 않아 (부정의 의미면)
❌ 그는 그 사실을 않다고 했다 → ❌
✅ 그는 그 사실을 안다고 했다 → ✔
👉 핵심은 "않다"는 부정, "안다"는 알다(긍정)
4. 쉽게 외우는 꿀팁!
- 않다는 ‘안’ + ‘하다’ → 하지 않는다
- 안다는 ‘알다’의 현재형
👉 "안다"는 지식
👉 "않다"는 부정
헷갈릴 땐 문장 속 의미를 떠올려 보세요.
‘안 하는 건가?’ → 않다
‘아는 건가?’ → 안다

'않다'는 부정, '안다'는 알다!
✔ 않다 = ~하지 않다 (부정)
✔ 안다 = 지식·사실을 알다
❌ 둘을 혼동하면 문장 뜻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정확하게 구분해서 쓰면 말의 신뢰도와 전달력이 훨씬 좋아져요 😊
반응형
'생활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수 밖에 vs 수밖에" 띄어쓰기 주의하세요! (0) | 2025.04.05 |
---|---|
헷갈리는 맞춤법! "되다 vs 돼다" 제대로 구분하기 (0) | 2025.04.03 |
헷갈리는 맞춤법! "잊다 vs 잃다" 완벽하게 구분하기 (0) | 2025.04.02 |
헷갈리는 맞춤법! "어의없다 vs 어이없다" 진짜 맞는 표현은? (0) | 2025.04.01 |
헷갈리는 맞춤법! "애매하다 vs 애매모호하다" 차이점 정확히 알기 (0)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