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8

헷갈리는 맞춤법! "않다 vs 안다" 구별해서 제대로 쓰기 “나 그 말 안 해”“나 그 말 않아”비슷하게 들리지만, 문법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말입니다.‘않다’와 ‘안다’, 특히 부정 표현 vs 긍정 표현을 혼동하는 분들이 많은데요,오늘은 이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 차이, 그리고 제대로 된 예문까지 정리해드릴게요. 1. "않다"는 부정 표현!✅ 않다 → ‘아니다’의 뜻을 가진 부정형 동사‘하지 않는다’, ‘아니다’의 의미로,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어서 부정의 의미를 만들어줍니다.예:가지 않다먹지 않다예쁘지 않다예문그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나는 그런 말 한 적이 않아.그건 사실이 아니야 → 않아의 의미와 같음포인트:무언가를 하지 않음 → 않다 사용!‘않’은 항상 부정이라는 걸 기억하세요.2. "안다"는 아는 것이다!✅ 안다 → ‘알다’의 현재형‘모른다’의 반대말이.. 2025. 4. 4.
헷갈리는 맞춤법! "되다 vs 돼다" 제대로 구분하기 “그렇게 돼?”, “그렇게 되?”비슷하게 들리지만, 하나는 맞고 하나는 틀린 표현이에요.‘되다’와 ‘돼다’, 특히 줄임 표현인 **‘돼’ vs ‘되’**는진짜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맞춤법 중 하나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표현들을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쉽고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게요.  1. 기본은 '되다'!✅ 되다 → 기본 동사❌ 돼다 → 존재하지 않는 말우선 **‘되다’**는 표준어로,어떤 변화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동사입니다.예:일이 잘 되다밥이 다 되었다꿈이 현실이 되다포인트:‘되다’는 문장의 기본형이고,이게 활용되면서 ‘돼’, ‘됐어’, ‘되면’처럼 변화하는 거예요.2. ‘돼’는 ‘되다’의 줄임말‘되다’ + ‘어’ → 돼즉,되 + 어 → 돼되 + 었어 → 됐어예:밥이 다 돼이제 그만하면 돼벌써 다.. 2025. 4. 3.
헷갈리는 맞춤법! "잊다 vs 잃다" 완벽하게 구분하기 “시간이 지나면 잊게 돼”“소중한 걸 잃어버렸어”두 표현 모두 일상에서 자주 쓰이죠.하지만 "잊다"와 "잃다"는 철자 하나 차이지만, 의미는 완전히 다릅니다.헷갈리기 쉬운 이 두 단어, 이번 글에서 확실히 구분해드릴게요!      1. "잊다"는 기억을 잃는 것✅ "잊다" (O)→ 기억하고 있던 것을 기억하지 못하게 되다, 기억에서 사라지다는 뜻이에요.→ 즉, 마음 속에서 잊혀지는 상태를 말합니다.예문그 사람은 시간이 지나도 도저히 잊을 수 없어.중요한 약속을 깜빡 잊었다.시험 날짜를 잊고 있었어.핵심: 기억을 잃어버림 → 잊다2. "잃다"는 물건이나 상태를 잃는 것✅ "잃다" (O)→ 어떤 것을 소유하고 있거나 누리던 것을 더 이상 갖지 못하게 되는 것→ 즉, 물건, 사람, 기회, 감정 등을 실제로 잃.. 2025. 4. 2.
헷갈리는 맞춤법! "어의없다 vs 어이없다" 진짜 맞는 표현은? 어이없는 소식을 들었을 때, 우리는 흔히 “진짜 어의없다…”라고 표현하곤 하죠.하지만 이 표현, 맞춤법으로 보면 많은 사람들이 틀리게 쓰는 대표적인 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어의없다"와 "어이없다"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왜 틀리는지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1. 정답은 바로 "어이없다"✅ "어이없다" (O)❌ "어의없다" (X)**"어이없다"**가 표준어입니다."어의없다"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며 완전히 틀린 표현이에요.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 발음을 '의'로 착각해서 무심코 잘못 쓰곤 하죠.2. "어이없다"의 정확한 뜻"어이없다"는 말 그대로기막히거나, 황당하거나, 말이 안 나올 정도로 어처구니없는 상황을 표현하는 말입니다.즉, 너무 놀라거나 황당해서 할 말을 잃은 상태예요.예문"진짜 이런 일이.. 2025. 4. 1.
헷갈리는 맞춤법! "애매하다 vs 애매모호하다" 차이점 정확히 알기 "답변이 애매해", "그 말은 좀 애매모호한데?"이 두 표현은 비슷하게 들리지만, 정확히 구분해서 써야 더 자연스럽고 정확한 문장이 됩니다.오늘은 **"애매하다"와 "애매모호하다"**의 의미 차이, 쓰임, 그리고 잘못된 오용까지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애매하다"와 "애매모호하다", 둘 다 맞는 말일까?✅ "애매하다" (O)✅ "애매모호하다" (O)둘 다 맞는 표현입니다.하지만 뜻이 완전히 같지는 않고,뉘앙스와 쓰이는 상황에 차이가 있다는 걸 아는 것이 중요해요.2. "애매하다"의 의미와 쓰임"애매하다"는 정확하지 않고 모호한 상태, 또는 입장이 불분명하고 어중간한 상황을 말합니다.예문시간이 애매해서 뭐 하기 애매하다.그 사람과의 관계가 좀 애매해.장소가 애매해서 찾기 어려워.포인트: 기준,.. 2025. 3. 31.
헷갈리는 맞춤법! "데리러 vs 데려러" 진짜 맞는 표현은? "친구 데리러 갈게", "아이 데려러 왔어요"이렇게 말할 때 여러분은 데리러와 데려러 중 어떤 표현을 쓰시나요?발음은 비슷하지만 이 둘 중 표준어는 하나뿐이라는 거, 알고 계셨나요?이번 글에서는 정확한 맞춤법과 그 이유를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올바른 표현은 "데리러"✅ "데리러" (O) → 표준어❌ "데려러" (X) → 잘못된 표현“데리러”는 ‘데리다’의 활용형이에요.누군가를 같이 어디로 이동하려고 갈 때 쓰는 말이죠.“데려오다”, “데려가다”와 비슷하지만, **‘데리다’**가 기본 동사이므로그에 따라 변화된 **"데리러"**가 맞는 표현입니다.2. "데리러"의 뜻과 쓰임"데리러"는 사람이나 동물을 마중하거나 함께 데려오기 위해 가는 동작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예문친구를 데리러 역에 갔다.아.. 2025.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