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생님한테 일르면 안 돼~”
“아직은 시간에 이르지 않았어”
어릴 적 친구끼리 장난처럼 했던 말 기억나시죠?
‘일르다’, ‘이르다’ 둘 다 자주 들리지만
표준어는 단 하나, 그리고 뜻도 완전히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단어를 정확하게 구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이르다” – 도달하다, 도착하다, 어떤 상태에 닿다
- ✅ 이르다는 어떤 시점, 장소, 상태에 도달한다는 뜻을 가진 표준어입니다.
- 시간, 시기, 장소, 나이 등 여러 상황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다의어예요.
예문
- 마감 기한에 이르기 전에 제출하세요.
- 드디어 목표에 이르렀다.
- 그 나이에 그런 깨달음에 이르다니, 대단해!
- 아침 일찍 이른 시간부터 나왔어요.
👉 “도달하다”는 뜻이면 무조건 → 이르다
2. “일르다” – 고자질하다, 일러바치다 (비표준어)
- ❌ 일르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 흔히 ‘선생님한테 일렀다’ 같은 표현으로 자주 쓰이지만,
- 정확한 표준어는 **‘일러바치다’, ‘고자질하다’**예요.
👉 일르다는 잘못된 구어체 표현이지만,
어린이 대화나 구어적 표현에서 관용적으로 쓰이긴 해요.
하지만 글쓰기에서는 반드시 표준어로 바꿔 써야 합니다.
3. 예문 비교로 구분해보기
잘못된 표현올바른 표현
걔가 선생님한테 일렀어 | 걔가 선생님한테 일러바쳤어 / 고자질했어 |
시험 시간에 너무 일러서 놀랐어 | 시험 시간에 너무 이른 시간이라 놀랐어 |
그 시점에 일러 있었다 | 그 시점에 이르러 있었다 |
👉 뜻이 전혀 다르니, 상황에 따라 정확한 단어를 써야 해요!
4. 한눈에 정리하기
단어표준어 여부뜻예시
이르다 | ✅ O | 도달하다, 일정 시점에 닿다 | 목표에 이르다, 이른 아침 |
일르다 | ❌ X | 고자질하다 (비표준, 구어체) | 선생님께 일렀다(❌) → 일러바치다(✔) |
외우는 꿀팁!
👉 “도착하거나 상태에 닿는 건 ‘이르다’”
👉 “누구한테 고자질하는 건 ‘일러바치다’”
👉 “‘일르다’는 쓰지 말기! 쓰면 틀린 말입니다!”

결론: 이르다 = 도달, 일르다 = 비표준!
✔ 이르다 = 장소·시간·상태에 닿는 것 (표준어)
❌ 일르다 = 틀린 말! 올바른 표현은 ‘일러바치다’ 또는 ‘고자질하다’
이제는 일상에서도, 글에서도 정확한 표현으로
표준어 맞춤법 마스터 해보세요 😊
반응형
'생활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본대 vs 본 데" 이 말투, 진짜 맞춤법일까? (1) | 2025.04.23 |
---|---|
헷갈리는 맞춤법! "잘하다 vs 잘 하다" 붙여야 맞을까? 띄어야 맞을까? (1) | 2025.04.22 |
헷갈리는 맞춤법! "그 밖에 vs 그밖에" 띄어쓰기 하나로 의미가 달라진다?! (1) | 2025.04.18 |
헷갈리는 맞춤법! "다르다 vs 틀리다" 그냥 ‘다른 게’ 아니라 ‘틀린 것’? (0) | 2025.04.17 |
헷갈리는 맞춤법! "가엾다 vs 애처롭다" 슬픔의 표현, 뭐가 다를까? (0) | 2025.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