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8 헷갈리는 맞춤법! "낫다 vs 낳다 vs 낫는다" 정확한 의미 구분법 “이제 병이 낫는다”, “아이를 낳다”, “그게 더 낫다”이 세 문장, 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각각의 뜻이 완전히 다릅니다.**‘낫다’, ‘낳다’, ‘낫는다’**는 자주 혼동되는 맞춤법 중 하나인데요,이번 글에서는 이 세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낫다"는 병이나 상황이 좋아지는 것✅ "낫다" (O)→ 병, 상처, 기분 등이 좋아지거나 회복되다는 의미예요.예문감기가 다 나았어.빨리 낫고 싶다.시간이 지나니까 마음이 좀 나아졌다.포인트: 회복, 좋아짐 = 낫다2. "낳다"는 아이를 출산하거나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 "낳다" (O)→ 아이를 출산하거나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다는 뜻이에요.예문어머니가 나를 낳으셨다.노력은 좋은 결과를 낳는다.그 발언이 논란을 .. 2025. 3. 29. 헷갈리는 맞춤법! "가르치다 vs 가리키다" 정확하게 구분하기 "선생님이 나를 가르쳤다"와 "손가락으로 길을 가리켰다"이 두 문장, 비슷하게 들리지만 완전히 다른 뜻이죠?**"가르치다"**와 **"가리키다"**는 발음이 비슷해 헷갈리기 쉽지만,정확하게 구분해서 써야 하는 단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표현의 차이점과 쉽게 외우는 방법까지 알려드릴게요. 1. "가르치다"는 지식을 전달하는 것✅ "가르치다" (O)→ 지식이나 방법 등을 누군가에게 알려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교육, 훈련, 지식 전달 같은 상황에서 사용돼요.예문선생님이 수학을 가르쳤다.부모님이 나에게 예절을 가르쳤다.선배가 후배에게 업무를 가르쳐줬다.핵심: 누군가에게 '지식이나 방법'을 전달 → 가르치다2. "가리키다"는 방향이나 대상을 짚는 것✅ "가리키다" (O)→ 손이나 물건 등으로 어떤 방.. 2025. 3. 28. 헷갈리는 맞춤법! "헷갈리다 vs 헷갈이다" 진짜 맞는 말은? "헷갈린다", "헷갈렸어", 이런 표현은 일상에서 정말 자주 쓰이죠.그런데 간혹 "헷갈이다", **"헷갈인다"**처럼 잘못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과연 표준어는 무엇이고, 틀린 표현은 왜 틀린 걸까요?이번 글에서는 이 맞춤법의 정확한 뜻과 바른 표현을 쉽게 알려드릴게요. 1. 올바른 표현은 "헷갈리다"✅ "헷갈리다" (O) → 혼동되다, 분간하기 어렵다❌ "헷갈이다", "헷갈인다" (X)**"헷갈리다"**는 표준어로 등록된 말이며,무언가를 구분하기 어렵거나 혼동될 때 사용하는 동사입니다.2. "헷갈리다"는 이런 의미예요"헷갈리다"는 두 가지 이상의 대상이 헷갈려서 구분이 안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쉽게 말하면, '이게 그거였나? 저게 이거였나?' 하고 혼동될 때 쓰는 말이에요.예문"이 문제는 너무 어려워.. 2025. 3. 27. 헷갈리는 맞춤법! "어떻게든 vs 어떻해든" 어느 게 맞는 표현일까? 누군가가 어려운 일을 겪고 있을 때 "어떻게든 해보자"라는 말, 자주 하시죠?그런데 가끔 "어떻해든" 이라고 쓰는 분들도 있는데요,과연 "어떻게든"과 어떻해든" 중에 올바른 표현은 무엇일까요?이번 글에서는 이 맞춤법의 정확한 뜻과 바른 쓰임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1. 올바른 표현은 "어떻게든"✅ "어떻게든" (O) → 어떤 방법으로든,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해든" (X) → 존재하지 않는 표현"어떻해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며, 완전히 틀린 표현입니다.비슷한 발음 때문에 혼동하기 쉬운 것이지,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2. "어떻게든"은 이렇게 쓰인다"어떻게든"은 '무슨 수를 써서라도',즉 방법을 가리지 않고 목표를 이루려는 의지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부사입니다.예문"이번 시.. 2025. 3. 26. 헷갈리는 맞춤법! "있다가 vs 이따가" 정확하게 구분하기 "조금 있다가 봐"라는 말을 자주 하지만,**"있다가"**와 "이따가" 중 어느 표현이 맞는지 고민해본 적 있나요?두 표현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뜻과 쓰임이 완전히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있다가"와 "이따가"의 정확한 차이를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1. "있다가"와 "이따가"의 뜻부터 구분하자✅ "있다가" (O) → 어떤 장소나 상태에 머무르는 것✅ "이따가" (O) → 시간이 조금 지난 뒤두 표현 모두 맞는 말이지만 상황에 따라 올바른 표현을 골라 써야 합니다.2. "있다가"는 상태나 장소를 나타냄"있다가"는 어떤 장소에 머물렀다가 나중에 움직이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예를 들어,"잠깐 있다가 가.""여기 있다가 가자."→ 이처럼 누군가가 어딘가에 머물러 있는 동작에 초점이 있을 때는 **"있다가.. 2025. 3. 25. 헷갈리는 맞춤법! "들리다 vs 들르다", "맞히다 vs 맞추다" 정확한 사용법 일상 대화나 글을 쓸 때 "들리다 vs 들르다", "맞히다 vs 맞추다" 같은 표현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이 표현들은 뜻이 비슷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오늘은 이 두 가지 맞춤법을 쉽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들리다 vs 들르다" 올바른 표현은?✅ "들리다" (O) → 소리가 귀에 들어오다✅ "들르다" (O) → 잠시 방문하다"들리다"와 "들르다"의 차이점"들리다"는 소리가 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들르다"는 어딘가에 잠깐 들르는 것을 뜻합니다.예문❌ 잘못된 표현: "집에 가는 길에 친구 집에 들릴게."✅ 올바른 표현: "집에 가는 길에 친구 집에 들를게."❌ 잘못된 표현: "이 음악은 너무 작아서 잘 들르지 않아."✅ 올바.. 2025. 3. 25. 이전 1 2 3 4 5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