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표준어20

헷갈리는 맞춤법! "잊히다 vs 잊혀지다" 정말 잊혀지면 안 될 표현은? “기억 속에서 잊혀지지 않아…”“그 말은 절대 잊히지 않아…”드라마, 노래 가사, 책 속 표현에서 자주 나오는 이 말,‘잊혀지다’와 ‘잊히다’, 과연 어떤 표현이 맞는 맞춤법일까요?이번 글에서는 이 두 단어의 정확한 표준어 여부와 의미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1. 정답은 ‘잊히다’!✅ 잊히다 → 표준어❌ 잊혀지다 → 비표준어사람들은 종종 ‘잊혀지다’가 더 고급스럽고 문학적인 느낌이 나서더 정식 표현처럼 착각하기 쉬운데요,국립국어원 기준, 맞는 말은 ‘잊히다’ 한 단어입니다.2. 왜 ‘잊혀지다’는 틀렸을까?‘잊혀지다’는잊다 + 히 + 어지다즉, 피동 + 피동 구조로 만들어진 이중 피동형이에요.그런데 국어에서는 의미 중복이 생기는 이중 피동 표현을 비문법적이라고 봅니다.👉 ‘잊히다’만으로도 이미 피동 표현이.. 2025. 4. 24.
헷갈리는 맞춤법! "본대 vs 본 데" 이 말투, 진짜 맞춤법일까? “어디서 그런 걸 본대?”“나는 그런 장면을 본 데가 없어”친근하게 들리는 말투지만,글로 쓸 때는 맞춤법이 맞는지 헷갈리기 쉽습니다.‘본대’와 ‘본 데’, 비슷한데도 맞춤법적으로는 의미와 형태가 다르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정리해드릴게요! 1. “본대” – 말투 표현, 줄임 또는 오용 가능성 있음❌ 본대는 표준어 표현이 아닙니다.실제로는 ‘본다 해’, ‘봤다 해’ 또는 **‘본다고 해’**에서 줄인 말이거나**‘본다는데’**를 잘못 줄여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즉,“그거 어디서 본대?”는“그거 어디서 봤다고 해? / 본다고 해?”정도로 풀이할 수 있어요.👉 구어체에서는 흔히 쓰지만, 글쓰기에서는 부적절한 표현입니다.2. “본 데” – ‘보다’ + ‘곳(데)’의 조합.. 2025. 4. 23.
헷갈리는 맞춤법! "이르다 vs 일르다" 발음은 비슷해도, 뜻은 완전 다르다! “선생님한테 일르면 안 돼~”“아직은 시간에 이르지 않았어”어릴 적 친구끼리 장난처럼 했던 말 기억나시죠?‘일르다’, ‘이르다’ 둘 다 자주 들리지만표준어는 단 하나, 그리고 뜻도 완전히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단어를 정확하게 구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이르다” – 도달하다, 도착하다, 어떤 상태에 닿다✅ 이르다는 어떤 시점, 장소, 상태에 도달한다는 뜻을 가진 표준어입니다.시간, 시기, 장소, 나이 등 여러 상황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다의어예요.예문마감 기한에 이르기 전에 제출하세요.드디어 목표에 이르렀다.그 나이에 그런 깨달음에 이르다니, 대단해!아침 일찍 이른 시간부터 나왔어요.👉 “도달하다”는 뜻이면 무조건 → 이르다2. “일르다” – 고자질하다, 일러바.. 2025. 4. 21.
헷갈리는 맞춤법! "그 밖에 vs 그밖에" 띄어쓰기 하나로 의미가 달라진다?! “그 밖에 필요한 거 있어?”“그밖에 사람은 없어요”띄어 쓸까? 붙여 쓸까?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표현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그 밖에’와 ‘그밖에’의 정확한 차이를 예문과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1. “그 밖에” (띄어쓰기 O) – 기타, 추가로✅ ‘그 밖에’ → 그 외에, 이외에도 라는 뜻의 표현**의존 명사 ‘밖’**과 **조사 ‘에’**가 결합한 말이에요다른 것들이 추가로 있다는 의미에서 쓰입니다.예문준비물은 연필, 지우개, 그 밖에 필요한 물품이 있어요.초대된 사람은 김 작가, 최 교수, 그 밖에 두세 명 정도입니다.노트북, 태블릿, 그 밖에 전자기기를 꺼내지 마세요.👉 “그 외에”로 바꿔도 자연스럽다면 ‘그 밖에’가 맞습니다!2. “그밖에” (붙여쓰기 O) – 제외, .. 2025. 4. 18.
헷갈리는 맞춤법! "이제서야 vs 이제야" 진짜 맞는 표현은? “이제서야 알겠어”“이제야 이해했어”말할 때는 비슷하게 들리지만,정확한 맞춤법은 하나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제서야’ vs ‘이제야’,무엇이 표준어이고 왜 그런지를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표준어는 “이제야”✅ 이제야 (O)❌ 이제서야 (X)‘이제야’는 표준어이며,**‘이제 + 야’**로 이루어진 부사 표현입니다.어떤 일이 지금에서야 비로소 이루어졌을 때 쓰는 말이죠.반면 ‘이제서야’는 표준어가 아닙니다.‘이제야’에 ‘-서’라는 요소를 잘못 덧붙인 형태예요.2. “이제야”의 의미와 쓰임‘이제야’는👉 지금이 되어서야,👉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겨우라는 의미를 갖고 있어요.강조의 의미로 쓰이는 부사입니다.예문이제야 진심을 알겠어.그렇게 오래 걸려서야 이제야 고백을 하다니.시험 끝나고 이제야 살 것 .. 2025. 4. 15.
헷갈리는 맞춤법! "그렇지 vs 그치 vs 긋이" 자연스러운 말하기와 올바른 쓰기 안녕하세요 오늘도 맞춤법 올바른 표현으로 사용하기입니다  친구와 대화할 때 이런 말 자주 하시죠?“그치? 내가 말했잖아~”“그렇지? 너도 그렇게 생각하지?”“긋이는 또 뭐야...?🤔”대화에선 아무렇지 않게 섞어 쓰지만,글에서는 어떤 게 맞고, 어떤 게 틀린 표현인지 확실히 알아둘 필요가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그렇지”, “그치”, “긋이” 각각의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릴게요!   1. 표준어는 “그렇지”✅ 그렇지 (O) → 표준어“그러하다 + 지”의 줄임말말하는 이가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해요.예문오늘 날씨 좋지? 그렇지?역시 맛있었지? 그렇지?나중에 후회하지 않으려면 지금 해야 돼. 그렇지?👉 문장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라고 써야 맞습니다.특히 글쓰기, 자막, 자소서, 공문.. 202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