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주틀리는표현9

헷갈리는 맞춤법! "잊히다 vs 잊혀지다" 정말 잊혀지면 안 될 표현은? “기억 속에서 잊혀지지 않아…”“그 말은 절대 잊히지 않아…”드라마, 노래 가사, 책 속 표현에서 자주 나오는 이 말,‘잊혀지다’와 ‘잊히다’, 과연 어떤 표현이 맞는 맞춤법일까요?이번 글에서는 이 두 단어의 정확한 표준어 여부와 의미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1. 정답은 ‘잊히다’!✅ 잊히다 → 표준어❌ 잊혀지다 → 비표준어사람들은 종종 ‘잊혀지다’가 더 고급스럽고 문학적인 느낌이 나서더 정식 표현처럼 착각하기 쉬운데요,국립국어원 기준, 맞는 말은 ‘잊히다’ 한 단어입니다.2. 왜 ‘잊혀지다’는 틀렸을까?‘잊혀지다’는잊다 + 히 + 어지다즉, 피동 + 피동 구조로 만들어진 이중 피동형이에요.그런데 국어에서는 의미 중복이 생기는 이중 피동 표현을 비문법적이라고 봅니다.👉 ‘잊히다’만으로도 이미 피동 표현이.. 2025. 4. 24.
헷갈리는 맞춤법! "본대 vs 본 데" 이 말투, 진짜 맞춤법일까? “어디서 그런 걸 본대?”“나는 그런 장면을 본 데가 없어”친근하게 들리는 말투지만,글로 쓸 때는 맞춤법이 맞는지 헷갈리기 쉽습니다.‘본대’와 ‘본 데’, 비슷한데도 맞춤법적으로는 의미와 형태가 다르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정리해드릴게요! 1. “본대” – 말투 표현, 줄임 또는 오용 가능성 있음❌ 본대는 표준어 표현이 아닙니다.실제로는 ‘본다 해’, ‘봤다 해’ 또는 **‘본다고 해’**에서 줄인 말이거나**‘본다는데’**를 잘못 줄여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즉,“그거 어디서 본대?”는“그거 어디서 봤다고 해? / 본다고 해?”정도로 풀이할 수 있어요.👉 구어체에서는 흔히 쓰지만, 글쓰기에서는 부적절한 표현입니다.2. “본 데” – ‘보다’ + ‘곳(데)’의 조합.. 2025. 4. 23.
헷갈리는 맞춤법! "잘하다 vs 잘 하다" 붙여야 맞을까? 띄어야 맞을까? “요리를 정말 잘하네~”“시험을 잘 했다고 들었어!”붙여야 할지, 띄어야 할지 자주 헷갈리는 표현 중 하나!‘잘하다’와 ‘잘 하다’, 사실 둘 다 맞는 표현이지만상황에 따라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이번 글에서 두 표현의 정확한 차이와 쓰임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잘하다” –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 경우✅ **‘잘하다’**는 **한 단어로 굳어진 ‘합성 동사’**입니다.주로 능력이나 실력을 표현할 때 붙여 씁니다.예문그는 피아노를 정말 잘한다.우리 강아지는 눈치 보는 걸 잘해.넌 뭘 그렇게 잘하냐~👉 실력, 능숙함, 성과 중심 → 붙여서 쓴다! (잘하다)2. “잘 하다” – 강조하거나, 단어의 의미를 살릴 때✅ **‘잘 하다’**는 ‘잘(부사)’ + ‘하다(동사)’ 형태로의미상 강조하거나, 일시.. 2025. 4. 22.
헷갈리는 맞춤법! "다르다 vs 틀리다" 그냥 ‘다른 게’ 아니라 ‘틀린 것’? “내 의견은 너랑 달라”“아니야, 그건 틀려”비슷해 보이지만 이 둘은 엄연히 다른 말입니다.일상에서도 많이 혼용되지만,‘다르다’와 ‘틀리다’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거,이번 글에서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다르다” – 차이가 있을 뿐, 틀린 건 아니다✅ 다르다는 서로 같지 않다, 비교 대상과 차이가 있다는 뜻이에요.맞고 틀림의 문제가 아니라, **단순한 ‘차이’**를 나타냅니다.예문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다.취향이 다른 건 이상한 게 아니야.나랑 의견이 달라서 싸운 건 아냐.👉 “틀린 게 아니라 그냥 다른 거야”👉 다름 = 다양성의 표현!2. “틀리다” – 잘못됐거나 정답이 아닌 것✅ 틀리다는 정답이 아닌 경우, 잘못된 경우를 나타냅니다.시험 문제, 사실 관계, 규칙 같은 정확성이 요.. 2025. 4. 17.
헷갈리는 맞춤법! "그렇지 vs 그치 vs 긋이" 자연스러운 말하기와 올바른 쓰기 안녕하세요 오늘도 맞춤법 올바른 표현으로 사용하기입니다  친구와 대화할 때 이런 말 자주 하시죠?“그치? 내가 말했잖아~”“그렇지? 너도 그렇게 생각하지?”“긋이는 또 뭐야...?🤔”대화에선 아무렇지 않게 섞어 쓰지만,글에서는 어떤 게 맞고, 어떤 게 틀린 표현인지 확실히 알아둘 필요가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그렇지”, “그치”, “긋이” 각각의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릴게요!   1. 표준어는 “그렇지”✅ 그렇지 (O) → 표준어“그러하다 + 지”의 줄임말말하는 이가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해요.예문오늘 날씨 좋지? 그렇지?역시 맛있었지? 그렇지?나중에 후회하지 않으려면 지금 해야 돼. 그렇지?👉 문장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라고 써야 맞습니다.특히 글쓰기, 자막, 자소서, 공문.. 2025. 4. 13.
헷갈리는 맞춤법! "예쁘다 vs 이쁘다" 진짜 표준어는? “너 오늘 진짜 이쁘다~”“예쁘다는 말이 더 정중한 느낌이야”일상 대화나 SNS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예쁘다’와 ‘이쁘다’**입니다.두 단어는 뜻도 똑같고, 발음도 거의 비슷하죠.그럼 도대체 뭐가 맞는 표현일까요? 표준어는 어느 쪽일까요?오늘은 이 두 표현의 차이와 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릴게요!    1. 표준어는 “예쁘다”!✅ 예쁘다 (O)❌ 이쁘다 (X)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예쁘다”가 정식 표준어이고,“이쁘다”는 비표준어로 분류됩니다.즉, 일상에서는 이쁘다도 많이 쓰이지만,공식적인 글쓰기나 방송, 문서에서는 반드시 ‘예쁘다’로 써야 맞습니다!2. 왜 “이쁘다”가 흔히 쓰일까?‘예쁘다’는 실제 발음에서‘예’가 ‘이’처럼 들리는 경향이 있어요.✔ 발음상:“예쁘다” → /이.. 2025.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