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 진짜 귀찮게 하지 말고 저리 가!”
“저리가! 보기 싫어!”
“조용히 좀 해, 저리 가라니까!”
비슷한 말 같지만, 다 써놓고 보면 묘하게 다르게 느껴지죠?
"저리 가", "저리가", "저리 가라"
모두 말은 되지만, 각각의 의미, 뉘앙스, 쓰임새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표현들의 문법적 차이와 말투의 분위기 차이까지 정리해드릴게요!

1. “저리 가” – 가장 자연스러운 명령형 표현
- ✅ 저리 가 → ‘저리’(저쪽으로) + ‘가다’
- 명령형이지만, 말투에 따라 부드럽거나 강하게도 들림
- 일상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형이에요.
예문
- 벌레야, 저리 가!
- 방해하지 말고 저리 가 있어.
- 강아지한테 “저리 가~” 하니까 눈치 보더라 ㅋㅋ
👉 짧고 강하지 않지만 단호한 느낌
👉 상황에 따라 부드럽게도, 살짝 짜증 섞인 말로도 쓸 수 있음
2. “저리가” – 빠르게 붙인 구어체 스타일
- ✅ 저리가 → ‘저리 가’의 구어체 줄임 표현
- 보통 말할 때 붙여서 많이 쓰는 말투
- 글보다는 말할 때 자연스럽게 사용돼요
예문
- “아 저리가~ 짜증나게…”
- “저리가! 지금 바쁘단 말이야.”
- “에이~ 저리가~ 농담도 참~”
👉 감정이 실린 말투에 자주 쓰이고
👉 소리 중심, 감정 표현에 특화된 느낌
문장으로 쓰려면 ‘저리 가’가 더 맞고,
회화체에서는 ‘저리가’가 더 자연스럽다!
3. “저리 가라” – 명령의 강도 상승버전
- ✅ 저리 가라 → ‘저리 가’ + 명령형 어미 ‘-라’
- 더 명확하고 강한 명령의 느낌
- 문어체, 또는 감정이 격한 말투에서 자주 사용돼요
예문
- 저리 가라! 다시는 나타나지 마!
- 이놈아, 저리 가라니까!
- 야! 진짜 열받게 하지 말고 저리 가라!
👉 말투에서 화가 나거나, 고전 문체 느낌도 있음
👉 싸움, 연극 대사, 감정적인 대화 등에서 사용
4. 차이 요약
표현말투/용도분위기
저리 가 | 기본형, 자연스러움 | 보통 명령, 상황 따라 부드럽거나 단호 |
저리가 | 구어체, 말할 때만 | 감정 섞인 표현, 친근하거나 짜증 느낌 |
저리 가라 | 명령 강조형 | 더 강하고 무게감 있음, 고전적이거나 감정적 |
외우는 팁!
👉 문장에서 쓰고 싶으면 “저리 가”
👉 말할 때 자연스럽게 하려면 “저리가”
👉 강조하고 싶으면 “저리 가라!”
말투 하나로 상대가 받는 인상도 달라지니까
표현의 강도와 상황에 맞게 골라 써보는 센스!

셋 다 맞지만, 쓰는 상황은 다르다!
✔ 저리 가 = 가장 무난한 기본 명령
✔ 저리가 = 회화체에서 감정 담긴 표현
✔ 저리 가라 = 강한 명령, 문어체나 강조할 때
말 한마디도 분위기를 바꾸는 힘이 있으니,
이제 상황에 맞게 멋지게 써보세요 😊
반응형
'생활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가엾다 vs 애처롭다" 슬픔의 표현, 뭐가 다를까? (0) | 2025.04.16 |
---|---|
헷갈리는 맞춤법! "이제서야 vs 이제야" 진짜 맞는 표현은? (0) | 2025.04.15 |
헷갈리는 맞춤법! "그렇지 vs 그치 vs 긋이" 자연스러운 말하기와 올바른 쓰기 (0) | 2025.04.13 |
헷갈리는 맞춤법! "만든 vs 만들어진" 능동과 수동 구분하기 (1) | 2025.04.11 |
헷갈리는 맞춤법! "너무나도 vs 너무도" 차이점 알고 쓰자! (0) | 2025.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