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맞춤법 올바른 표현으로 사용하기입니다

친구와 대화할 때 이런 말 자주 하시죠?
“그치? 내가 말했잖아~”
“그렇지? 너도 그렇게 생각하지?”
“긋이는 또 뭐야...?🤔”
대화에선 아무렇지 않게 섞어 쓰지만,
글에서는 어떤 게 맞고, 어떤 게 틀린 표현인지 확실히 알아둘 필요가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그렇지”, “그치”, “긋이” 각각의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릴게요!
1. 표준어는 “그렇지”
- ✅ 그렇지 (O) → 표준어
- “그러하다 + 지”의 줄임말
- 말하는 이가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해요.
예문
- 오늘 날씨 좋지? 그렇지?
- 역시 맛있었지? 그렇지?
- 나중에 후회하지 않으려면 지금 해야 돼. 그렇지?
👉 문장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라고 써야 맞습니다.
특히 글쓰기, 자막, 자소서, 공문서 등에는 무조건 ‘그렇지’로 써야 해요!
2. “그치”는 구어체, 말할 때는 OK!
- ✅ 그치 (O, 비표준이지만 구어체 허용)
- ‘그렇지’의 줄임말, 대화체 표현
- 말할 때 자연스럽게 쓰는 형태지만 문어체에는 부적절
예문 (회화체)
- 너도 그렇게 생각하지? → 그치?
- 와 진짜 귀엽다 그치?
- 아까 그 영화 재밌었지? 그치?
👉 말할 땐 자연스럽지만, 글로 쓸 땐 ‘그치’는 지양하고 ‘그렇지’ 사용 추천!
3. “긋이”는 그냥 틀린 말입니다!
- ❌ 긋이 (X)
- 발음도 어색하고, 표준어도 아니고, 구어체도 아님
- 혹시 자판 실수나 일부 채팅/밈에서 쓰일 수 있지만, 문법적으로는 완전한 오류
요약하자면:
- 그렇지 → 표준어
- 그치 → 구어체로 OK (말할 때)
- 긋이 → ❌ 틀린 표현
4. 쉽게 정리하기
표현사용 가능?설명
그렇지 | ✅ 표준어 | 글쓰기, 공식적 상황에서 사용 |
그치 | ✅ 구어체 | 말할 땐 OK, 글에서는 지양 |
긋이 | ❌ 틀림 | 오타, 잘못된 표현 |
외우는 팁!
👉 “말할 땐 그치, 쓸 땐 그렇지”
👉 ‘긋이’는 귀엽지만 틀린 표현
말과 글의 차이를 이해하면 자연스러운 표현 선택이 쉬워져요!

글에서는 “그렇지”, 말할 땐 “그치”, 긋이는 노노!
✔ 그렇지 = 표준어, 모든 상황에서 OK
✔ 그치 = 말할 때만 OK, 글에서는 주의
❌ 긋이 = 무조건 틀림!
표현이 자연스럽다고 해서 무조건 맞는 건 아니니,
이제부터는 말과 글의 구분도 같이 신경 써보세요 😊
반응형
'생활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이제서야 vs 이제야" 진짜 맞는 표현은? (0) | 2025.04.15 |
---|---|
헷갈리는 맞춤법! "저리 가 vs 저리가 vs 저리 가라" 어떻게 다를까? (0) | 2025.04.14 |
헷갈리는 맞춤법! "만든 vs 만들어진" 능동과 수동 구분하기 (1) | 2025.04.11 |
헷갈리는 맞춤법! "너무나도 vs 너무도" 차이점 알고 쓰자! (0) | 2025.04.10 |
헷갈리는 맞춤법! "던 vs 었던"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 (1) | 2025.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