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식

헷갈리는 맞춤법! "그렇지 vs 그치 vs 긋이" 자연스러운 말하기와 올바른 쓰기

by 로지루리 2025. 4.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맞춤법 올바른 표현으로 사용하기입니다

 

 

친구와 대화할 때 이런 말 자주 하시죠?

그치? 내가 말했잖아~”
그렇지? 너도 그렇게 생각하지?”
긋이는 또 뭐야...?🤔”

대화에선 아무렇지 않게 섞어 쓰지만,
글에서는 어떤 게 맞고, 어떤 게 틀린 표현인지 확실히 알아둘 필요가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그렇지”, “그치”, “긋이” 각각의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릴게요!

 

 

 


1. 표준어는 “그렇지”

  • 그렇지 (O) → 표준어
  • “그러하다 + 지”의 줄임말
  • 말하는 이가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해요.

예문

  • 오늘 날씨 좋지? 그렇지?
  • 역시 맛있었지? 그렇지?
  • 나중에 후회하지 않으려면 지금 해야 돼. 그렇지?

👉 문장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라고 써야 맞습니다.
특히 글쓰기, 자막, 자소서, 공문서 등에는 무조건 ‘그렇지’로 써야 해요!


2. “그치”는 구어체, 말할 때는 OK!

  • 그치 (O, 비표준이지만 구어체 허용)
  • ‘그렇지’의 줄임말, 대화체 표현
  • 말할 때 자연스럽게 쓰는 형태지만 문어체에는 부적절

예문 (회화체)

  • 너도 그렇게 생각하지? → 그치?
  • 와 진짜 귀엽다 그치?
  • 아까 그 영화 재밌었지? 그치?

👉 말할 땐 자연스럽지만, 글로 쓸 땐 ‘그치’는 지양하고 ‘그렇지’ 사용 추천!


3. “긋이”는 그냥 틀린 말입니다!

  • 긋이 (X)
  • 발음도 어색하고, 표준어도 아니고, 구어체도 아님
  • 혹시 자판 실수나 일부 채팅/밈에서 쓰일 수 있지만, 문법적으로는 완전한 오류

요약하자면:

  • 그렇지 → 표준어
  • 그치 → 구어체로 OK (말할 때)
  • 긋이 → ❌ 틀린 표현

4. 쉽게 정리하기

표현사용 가능?설명
그렇지 ✅ 표준어 글쓰기, 공식적 상황에서 사용
그치 ✅ 구어체 말할 땐 OK, 글에서는 지양
긋이 ❌ 틀림 오타, 잘못된 표현

외우는 팁!

👉 “말할 땐 그치, 쓸 땐 그렇지”
👉 ‘긋이’는 귀엽지만 틀린 표현

말과 글의 차이를 이해하면 자연스러운 표현 선택이 쉬워져요!

 

 

 


글에서는 “그렇지”, 말할 땐 “그치”, 긋이는 노노!

그렇지 = 표준어, 모든 상황에서 OK
그치 = 말할 때만 OK, 글에서는 주의
긋이 = 무조건 틀림!

표현이 자연스럽다고 해서 무조건 맞는 건 아니니,
이제부터는 말과 글의 구분도 같이 신경 써보세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