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헷갈리는표현11

헷갈리는 맞춤법! "가엾다 vs 애처롭다" 슬픔의 표현, 뭐가 다를까? “너무 가엾어서 눈물이 났어”“그 장면, 정말 애처롭더라...”둘 다 비슷하게 ‘불쌍하다’는 감정을 담고 있지만,사실은 느낌과 뉘앙스, 쓰이는 대상이 조금씩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가엾다’와 ‘애처롭다’**의 차이를감성적으로, 또 정확하게 비교해드릴게요.  1. “가엾다” – 마음이 짠하고 안쓰러운 감정✅ 가엾다는 상대가 처한 상황이 안타까워 안쓰럽고 불쌍하게 여겨질 때 사용하는 표현이에요.주로 **사람(또는 동물)**을 대상으로 감정적으로 동정할 때 쓰입니다.말하는 사람의 따뜻한 감정이 많이 담겨 있어요.예문어린 동생이 혼자 울고 있는 모습이 너무 가엾었다.길 잃은 강아지가 가엾게 느껴졌다.아픈 친구를 보니 정말 가엾다는 생각이 들었다.👉 주관적인 감정, 인간적인 연민 → 가엾다2. “애처롭다”.. 2025. 4. 16.
헷갈리는 맞춤법! "이제서야 vs 이제야" 진짜 맞는 표현은? “이제서야 알겠어”“이제야 이해했어”말할 때는 비슷하게 들리지만,정확한 맞춤법은 하나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제서야’ vs ‘이제야’,무엇이 표준어이고 왜 그런지를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표준어는 “이제야”✅ 이제야 (O)❌ 이제서야 (X)‘이제야’는 표준어이며,**‘이제 + 야’**로 이루어진 부사 표현입니다.어떤 일이 지금에서야 비로소 이루어졌을 때 쓰는 말이죠.반면 ‘이제서야’는 표준어가 아닙니다.‘이제야’에 ‘-서’라는 요소를 잘못 덧붙인 형태예요.2. “이제야”의 의미와 쓰임‘이제야’는👉 지금이 되어서야,👉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겨우라는 의미를 갖고 있어요.강조의 의미로 쓰이는 부사입니다.예문이제야 진심을 알겠어.그렇게 오래 걸려서야 이제야 고백을 하다니.시험 끝나고 이제야 살 것 .. 2025. 4. 15.
헷갈리는 맞춤법! "저리 가 vs 저리가 vs 저리 가라" 어떻게 다를까? “아 진짜 귀찮게 하지 말고 저리 가!”“저리가! 보기 싫어!”“조용히 좀 해, 저리 가라니까!”비슷한 말 같지만, 다 써놓고 보면 묘하게 다르게 느껴지죠?"저리 가", "저리가", "저리 가라"모두 말은 되지만, 각각의 의미, 뉘앙스, 쓰임새에 차이가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표현들의 문법적 차이와 말투의 분위기 차이까지 정리해드릴게요!  1. “저리 가” – 가장 자연스러운 명령형 표현✅ 저리 가 → ‘저리’(저쪽으로) + ‘가다’명령형이지만, 말투에 따라 부드럽거나 강하게도 들림일상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형이에요.예문벌레야, 저리 가!방해하지 말고 저리 가 있어.강아지한테 “저리 가~” 하니까 눈치 보더라 ㅋㅋ👉 짧고 강하지 않지만 단호한 느낌👉 상황에 따라 부드럽게도, 살짝 짜증 섞인 말.. 2025. 4. 14.
헷갈리는 맞춤법! "만든 vs 만들어진" 능동과 수동 구분하기 “내가 만든 도시락”“엄마가 만들어준 도시락”“공장에서 만들어진 제품”비슷한 것 같은데 느낌도 다르고 쓰임도 다르죠?오늘은 자주 헷갈리는 **‘만든’과 ‘만들어진’**의 정확한 차이를능동 vs 수동 개념으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만든’은 능동! 내가 직접 한 것✅ 만든 → ‘만들다’의 과거형, 능동 표현직접 어떤 것을 만든 주체가 ‘나’일 때,즉 **‘내가 무엇을 만들었다’**는 의미로 사용합니다.예문내가 만든 초콜릿이야.직접 만든 요리가 최고지.이건 친구가 만든 게임이야.👉 직접 누군가가 만든 행동이 들어간다면 → ‘만든’2. ‘만들어진’은 수동!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것✅ 만들어진 → ‘만들다’의 피동(수동)형어떤 물건이나 결과가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졌지만,그 주체가 명확하지 않거나.. 2025. 4. 11.
헷갈리는 맞춤법! "너무나도 vs 너무도" 차이점 알고 쓰자! “그 사람은 너무나도 친절했어”“그 영화는 너무도 감동적이었다”너무나도? 너무도? 둘 다 자주 보이지만 어떤 게 더 맞는 표현일까요?혹시 둘 중 하나는 틀린 건 아닐까?이번 글에서는 **‘너무나도’와 ‘너무도’**의 정확한 의미와 차이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1. 둘 다 맞는 표현입니다!✅ 너무나도 (O)✅ 너무도 (O)의외죠?사실 이 둘은 둘 다 표준어이며,강조하는 정도만 조금 다를 뿐, 문법적으로는 전혀 문제 없습니다.2. 공통된 기본 의미: ‘매우’, ‘정말’, ‘지나치게’“너무나도”와 “너무도” 모두 **‘아주’, ‘매우’**의 의미를 갖고 있어요.보통 감정, 상태, 정도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예문그 말이 너무도 고마웠다.오늘은 너무나도 기분이 좋다.그 순간이 너무도 아프게 느껴졌다.우리.. 2025.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