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공부2 헷갈리는 맞춤법! "예쁘다 vs 이쁘다" 진짜 표준어는? “너 오늘 진짜 이쁘다~”“예쁘다는 말이 더 정중한 느낌이야”일상 대화나 SNS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예쁘다’와 ‘이쁘다’**입니다.두 단어는 뜻도 똑같고, 발음도 거의 비슷하죠.그럼 도대체 뭐가 맞는 표현일까요? 표준어는 어느 쪽일까요?오늘은 이 두 표현의 차이와 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릴게요! 1. 표준어는 “예쁘다”!✅ 예쁘다 (O)❌ 이쁘다 (X)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예쁘다”가 정식 표준어이고,“이쁘다”는 비표준어로 분류됩니다.즉, 일상에서는 이쁘다도 많이 쓰이지만,공식적인 글쓰기나 방송, 문서에서는 반드시 ‘예쁘다’로 써야 맞습니다!2. 왜 “이쁘다”가 흔히 쓰일까?‘예쁘다’는 실제 발음에서‘예’가 ‘이’처럼 들리는 경향이 있어요.✔ 발음상:“예쁘다” → /이.. 2025. 4. 7. 헷갈리는 맞춤법! "않다 vs 안다" 구별해서 제대로 쓰기 “나 그 말 안 해”“나 그 말 않아”비슷하게 들리지만, 문법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말입니다.‘않다’와 ‘안다’, 특히 부정 표현 vs 긍정 표현을 혼동하는 분들이 많은데요,오늘은 이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 차이, 그리고 제대로 된 예문까지 정리해드릴게요. 1. "않다"는 부정 표현!✅ 않다 → ‘아니다’의 뜻을 가진 부정형 동사‘하지 않는다’, ‘아니다’의 의미로,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어서 부정의 의미를 만들어줍니다.예:가지 않다먹지 않다예쁘지 않다예문그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나는 그런 말 한 적이 않아.그건 사실이 아니야 → 않아의 의미와 같음포인트:무언가를 하지 않음 → 않다 사용!‘않’은 항상 부정이라는 걸 기억하세요.2. "안다"는 아는 것이다!✅ 안다 → ‘알다’의 현재형‘모른다’의 반대말이.. 2025. 4.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