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공부8 헷갈리는 맞춤법! "본대 vs 본 데" 이 말투, 진짜 맞춤법일까? “어디서 그런 걸 본대?”“나는 그런 장면을 본 데가 없어”친근하게 들리는 말투지만,글로 쓸 때는 맞춤법이 맞는지 헷갈리기 쉽습니다.‘본대’와 ‘본 데’, 비슷한데도 맞춤법적으로는 의미와 형태가 다르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정리해드릴게요! 1. “본대” – 말투 표현, 줄임 또는 오용 가능성 있음❌ 본대는 표준어 표현이 아닙니다.실제로는 ‘본다 해’, ‘봤다 해’ 또는 **‘본다고 해’**에서 줄인 말이거나**‘본다는데’**를 잘못 줄여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즉,“그거 어디서 본대?”는“그거 어디서 봤다고 해? / 본다고 해?”정도로 풀이할 수 있어요.👉 구어체에서는 흔히 쓰지만, 글쓰기에서는 부적절한 표현입니다.2. “본 데” – ‘보다’ + ‘곳(데)’의 조합.. 2025. 4. 23. 헷갈리는 맞춤법! "그 밖에 vs 그밖에" 띄어쓰기 하나로 의미가 달라진다?! “그 밖에 필요한 거 있어?”“그밖에 사람은 없어요”띄어 쓸까? 붙여 쓸까?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표현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그 밖에’와 ‘그밖에’의 정확한 차이를 예문과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1. “그 밖에” (띄어쓰기 O) – 기타, 추가로✅ ‘그 밖에’ → 그 외에, 이외에도 라는 뜻의 표현**의존 명사 ‘밖’**과 **조사 ‘에’**가 결합한 말이에요다른 것들이 추가로 있다는 의미에서 쓰입니다.예문준비물은 연필, 지우개, 그 밖에 필요한 물품이 있어요.초대된 사람은 김 작가, 최 교수, 그 밖에 두세 명 정도입니다.노트북, 태블릿, 그 밖에 전자기기를 꺼내지 마세요.👉 “그 외에”로 바꿔도 자연스럽다면 ‘그 밖에’가 맞습니다!2. “그밖에” (붙여쓰기 O) – 제외, .. 2025. 4. 18. 헷갈리는 맞춤법! "다르다 vs 틀리다" 그냥 ‘다른 게’ 아니라 ‘틀린 것’? “내 의견은 너랑 달라”“아니야, 그건 틀려”비슷해 보이지만 이 둘은 엄연히 다른 말입니다.일상에서도 많이 혼용되지만,‘다르다’와 ‘틀리다’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거,이번 글에서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다르다” – 차이가 있을 뿐, 틀린 건 아니다✅ 다르다는 서로 같지 않다, 비교 대상과 차이가 있다는 뜻이에요.맞고 틀림의 문제가 아니라, **단순한 ‘차이’**를 나타냅니다.예문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다.취향이 다른 건 이상한 게 아니야.나랑 의견이 달라서 싸운 건 아냐.👉 “틀린 게 아니라 그냥 다른 거야”👉 다름 = 다양성의 표현!2. “틀리다” – 잘못됐거나 정답이 아닌 것✅ 틀리다는 정답이 아닌 경우, 잘못된 경우를 나타냅니다.시험 문제, 사실 관계, 규칙 같은 정확성이 요.. 2025. 4. 17. 헷갈리는 맞춤법! "이제서야 vs 이제야" 진짜 맞는 표현은? “이제서야 알겠어”“이제야 이해했어”말할 때는 비슷하게 들리지만,정확한 맞춤법은 하나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제서야’ vs ‘이제야’,무엇이 표준어이고 왜 그런지를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표준어는 “이제야”✅ 이제야 (O)❌ 이제서야 (X)‘이제야’는 표준어이며,**‘이제 + 야’**로 이루어진 부사 표현입니다.어떤 일이 지금에서야 비로소 이루어졌을 때 쓰는 말이죠.반면 ‘이제서야’는 표준어가 아닙니다.‘이제야’에 ‘-서’라는 요소를 잘못 덧붙인 형태예요.2. “이제야”의 의미와 쓰임‘이제야’는👉 지금이 되어서야,👉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겨우라는 의미를 갖고 있어요.강조의 의미로 쓰이는 부사입니다.예문이제야 진심을 알겠어.그렇게 오래 걸려서야 이제야 고백을 하다니.시험 끝나고 이제야 살 것 .. 2025. 4. 15. 헷갈리는 맞춤법! "만든 vs 만들어진" 능동과 수동 구분하기 “내가 만든 도시락”“엄마가 만들어준 도시락”“공장에서 만들어진 제품”비슷한 것 같은데 느낌도 다르고 쓰임도 다르죠?오늘은 자주 헷갈리는 **‘만든’과 ‘만들어진’**의 정확한 차이를능동 vs 수동 개념으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만든’은 능동! 내가 직접 한 것✅ 만든 → ‘만들다’의 과거형, 능동 표현직접 어떤 것을 만든 주체가 ‘나’일 때,즉 **‘내가 무엇을 만들었다’**는 의미로 사용합니다.예문내가 만든 초콜릿이야.직접 만든 요리가 최고지.이건 친구가 만든 게임이야.👉 직접 누군가가 만든 행동이 들어간다면 → ‘만든’2. ‘만들어진’은 수동!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것✅ 만들어진 → ‘만들다’의 피동(수동)형어떤 물건이나 결과가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졌지만,그 주체가 명확하지 않거나.. 2025. 4. 11. 헷갈리는 맞춤법! "너무나도 vs 너무도" 차이점 알고 쓰자! “그 사람은 너무나도 친절했어”“그 영화는 너무도 감동적이었다”너무나도? 너무도? 둘 다 자주 보이지만 어떤 게 더 맞는 표현일까요?혹시 둘 중 하나는 틀린 건 아닐까?이번 글에서는 **‘너무나도’와 ‘너무도’**의 정확한 의미와 차이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1. 둘 다 맞는 표현입니다!✅ 너무나도 (O)✅ 너무도 (O)의외죠?사실 이 둘은 둘 다 표준어이며,강조하는 정도만 조금 다를 뿐, 문법적으로는 전혀 문제 없습니다.2. 공통된 기본 의미: ‘매우’, ‘정말’, ‘지나치게’“너무나도”와 “너무도” 모두 **‘아주’, ‘매우’**의 의미를 갖고 있어요.보통 감정, 상태, 정도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예문그 말이 너무도 고마웠다.오늘은 너무나도 기분이 좋다.그 순간이 너무도 아프게 느껴졌다.우리.. 2025. 4.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