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식

헷갈리는 맞춤법! "들리다 vs 들르다", "맞히다 vs 맞추다" 정확한 사용법

by 로지루리 2025. 3. 25.
반응형

일상 대화나 글을 쓸 때 "들리다 vs 들르다", "맞히다 vs 맞추다" 같은 표현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표현들은 뜻이 비슷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맞춤법을 쉽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들리다 vs 들르다" 올바른 표현은?

  • "들리다" (O) → 소리가 귀에 들어오다
  • "들르다" (O) → 잠시 방문하다

"들리다"와 "들르다"의 차이점

"들리다"는 소리가 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들르다"는 어딘가에 잠깐 들르는 것을 뜻합니다.

예문

❌ 잘못된 표현: "집에 가는 길에 친구 집에 들릴게."
✅ 올바른 표현: "집에 가는 길에 친구 집에 들를게."

❌ 잘못된 표현: "이 음악은 너무 작아서 잘 들르지 않아."
✅ 올바른 표현: "이 음악은 너무 작아서 잘 들리지 않아."

2. "맞히다 vs 맞추다" 올바른 표현은?

  • "맞히다" (O) → 정답을 맞히다, 화살을 맞히다
  • "맞추다" (O) → 기준에 맞추다, 시간에 맞추다

"맞히다"와 "맞추다"의 차이점

"맞히다"는 정답을 맞히거나 무언가를 맞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맞추다"는 시간을 맞추거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뜻합니다.

예문

❌ 잘못된 표현: "문제의 정답을 맞췄다."
✅ 올바른 표현: "문제의 정답을 맞혔다."

❌ 잘못된 표현: "옷 사이즈를 내 몸에 맞혔다."
✅ 올바른 표현: "옷 사이즈를 내 몸에 맞췄다."

3. 쉽게 외우는 방법

  • "들리다"는 귀에 들리는 것, "들르다"는 방문하는 것!
    • "노래가 들리다" → (✔ 가능)
    • "가게에 들르다" → (✔ 가능)
  • "맞히다"는 정답을 맞히는 것, "맞추다"는 기준에 맞추는 것!
    • "정답을 맞히다" → (✔ 가능)
    • "약속 시간을 맞추다" → (✔ 가능)

이렇게 간단한 규칙을 기억하면 맞춤법을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4. 올바른 표현만 사용하자!

"들리다" (O), "들르다" (O), "맞히다" (O), "맞추다" (O)
"들릴게" (X), "들르지 않아" (X), "맞췄다" (X), "맞혔다" (X) – 잘못 사용된 경우

이제 더 이상 헷갈리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겠죠?
정확한 맞춤법을 사용하면 글의 신뢰도가 높아지니, 작은 실수라도 꼭 주의해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