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건강 가이드

근로자의 날은 매년 5월 1일

by 로지루리 2023. 5. 1.
반응형

대한민국의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로 매년 5월 1일이다.

 

1. 개요

세계적으로도 국제 노동자의 날(International Workers' Day)에 해당하는 기념일이다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로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 날을 근로기준법에 따른 유급휴일로 한다.'로 정하여 있다.

2. 역사

1886년 5월 1일 미국 시카고에서 8만 명의 노동자들이 거리 파업 집회를 연 것을 시초로 한다. 한국에서는 1958년 대한노동 총 연맹[2]이 창립일인 3월 10일을 '노동절'로 정했으며, 1963년 4월 17일에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근로자의 날'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것이 1973년 3월 30일에 제정·공포되었으며, 이후 1994년부터는 다시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3. 노동절의 의미와 전 세계에서 기념하는 방법

국제 근로자의 날이라고도 알려진 노동절은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매년 5월 1일에 기념하는 중요한 공휴일입니다. 이 휴일은 역사를 통틀어 노동자들의 투쟁과 업적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하며 더 나은 근무 조건, 공정한 임금 및 노동권을 옹호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노동절의 기원은 19세기 후반 미국과 유럽의 노동 운동이 더 나은 근무 조건과 하루 8시간 근무를 옹호하기 시작한 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미국에서 노동절은 1894년 풀먼 파업(Pullman Strike) 동안 노동자들이 사망한 후 처음으로 국경일로 인정되었습니다.

오늘날 노동절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됩니다. 많은 국가에서 이날은 공휴일이며 근로자들은 휴식을 취하고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다른 국가에서는 근로자가 노동권과 사회 정의를 옹호하기 위해 퍼레이드, 집회 및 기타 행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노동절은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 외에도 많은 국가에서 봄의 시작을 알리며 종종 피크닉, 바비큐 및 기타 야외 활동으로 기념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노동절은 비공식적으로 여름의 끝으로 간주되며 여행과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인기 있는 시간입니다.

그러나 근로자의 날은 단순히 일을 쉬는 날이나 바비큐를 위한 핑계 그 이상이라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역사를 통해 노동자들의 공헌과 희생을 반성하고 보다 정의롭고 공평한 사회를 옹호해야 할 때입니다.

4. 근로자의 날 공무원도 근로자의 날 휴일 보장해 달라... 헌재의 판단은?

"공무원도 노동자다. 노동절 휴일 보장하라."

다음 달 1일 근로자의 날을 앞두고 정부서울청사나 세종청사 앞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현수막이다. 일부 공무원들은 근로자의 날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관공서공휴일규정)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해오고 있다.

 

실제로 초등학교 교사 등 공무원들은 근로자의 날을 포함시키지 않은 관공서공휴일규정 제2조 인 공휴일 조항이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인 평등권과 단결권을 침해한다며 헌법소원을 냈다. 특히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라 관공서의 공휴일규정상 대체공휴일이 법정유급휴일로 인정받으면서 일반근로자들의 법정유급휴일이 늘어나 공무원들이 일반근로자보다 더 많은 유급휴일을 보장받는다는 이전 판례가 유효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헌재는 지난해 8월 재판관 7대 2의 의견으로 합헌 결정하면서 이 같은 공무원들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헌재는 "공무원은 국민전체의 봉사자로서 국가 재정으로 봉급을 지급받는 특수한 지위도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면서 "공무원의 보수와 수당 등 근로조건은 위와 같은 근로관계의 특수성과 예산상 한계를 고려해 독자적인 법률 및 하위법령으로 규율하고 이는 근로기준법보다 우선적으로 적용된다"라고 판단했다.

 

이어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복무규정은 토요일을 휴일로 인정하고 있고, 토요일 근무에 대해서도 공휴일 근무와 마찬가지로 시간 외 근무수당이 지급되고 있다"면서 "공무원에게 부여된 휴일은 근로자의 피로해소와 건강회복 및 여가의 활용을 통한 인간으로서의 사회적·문화적 생활의 향유를 위해 마련된 근로기준법상의 휴일제도의 취지에 부합한다"라고 설명했다.

헌재는 특히 "근로기준법이 개정돼 일반근로자의 법정유급휴일 보장이 확대됐다고 하더라도 기존 헌재의 판결을 변경해야 할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볼 수 없다"면서 "근로자의 날을 공무원의 유급휴일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 공무원들의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라고 명시했다.

 

아울러 공무원들이 근로자의 날에 출근하면서 다른 근로자들과 의사교환을 하거나 기념행사 및 집회에 참석하는 등 집단적 소통의 기회를 갖지 못해 헌법상 단결권과 집회의 자유가 침해된다는 청구인들의 주장 역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면서 "관공서공휴일규정은 공무원의 단결권이나 집회의 자유 등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의 규정이 아니고, 공무원들이 근로자의 날 기념행사 및 집회 등에 참석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방해하거나 금지하는 규정도 아니다"라면서 "근로자의 날을 공무원의 유급휴일로 보장하지 않았다고 해서 직접 청구인들의 단결권 및 집회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라고 선을 그었다.

<출처 : 머니투데이>

반응형

댓글